DFS
DFS
는 깊이 우선 탐색이라고도 부르며, 그래프에서 깊은 부분을 우선적으로 탐색하는 알고리즘이다.
-
그래프의 기본 구조를 살펴보자면 그래프는 노드와 간선으로 표현되며 이때 노드를 정점이라고 말한다.
-
그래프 탐색이란 하나의 노드를 시작으로 다수의 노드를 방문하는 것을 말한다. 또한 두 노드가 간선으로 연결되어 있다면 두 노드는 인접하다고 표현한다.
-
프로그래밍에서 그래프는 크게 2가지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는데 코딩 테스트에서는 이 두 방식 모두 필요하니 두 개념에 대해서 바르게 알고 있도록 하자.
- 인접 행렬 : 2차원 배열의 그래프로 연결 관계를 표현하는 방식
- 인접 리스트 : 리스트로 그래프의 연결관계를 표현하는 방식
인접 행렬 방식
graph = [
[0, 7, 5],
[7, 0, float('inf')],
[5, float('inf'), 0]
]
- 먼저 인접 행렬 방식은 2차우너 배열에 각 노드가 연결된 형태를 기록하는 방식이다.
- 파이썬에서는 2차원 리스트로 이를 구현할 수 있다.
- 연결이 되어있지 않은 노드끼리는 무한의 비용이라고 작성하면 된다. 실제 코드에서는 논리적으로 정답이 될 수 없는 큰 값으로 초기화하는 경우가 많다.
인접 리스트
graph = [[] for _ in range(3)]
# 노드 0에 연결된 노드 정보 저장 (노드, 거리)
graph[0].append((1, 7))
graph[0].append((2, 5))
# 노드 1에 연결된 노드 정보 저장 (노드, 거리)
graph[1].append((0, 7))
# 노드 2에 연결된 노드 정보 저장 (노드, 거리)
graph[2].append((0, 5))
-
인접 리스트 방식에서는 모든 노드에 연결된 노드에 대한 정볼르 차례대로 연결하여 저장한다.
-
인접 리스트는 ‘연결 리스트’라는 자료구조를 이용하여 구현하는데 파이썬은 기본 리스트로 구현한다.
DFS
-
DFS는 탐색을 위해서 사용되는 알고리즘이다. 이 알고리즘은 특별한 경로로 탐색하다가 특정한 상황에서 최대한 깊숙히 들어가서 노드를 방문 한 후, 다시 돌아가서 다른 경로를 탐색하는 알고리즘이다.
-
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.
- 탐색 시작 노드를 스택에 삽입하고 방문 처리를 한다.
- 스택의 최상단 노드에 방문하지 않은 인접 노드가 있으면 그 인접 노드를 스택에 넣고 방문 처리를 한다.
- 3번과 2번의 과정을 더 이상 수행할 수 없을 때까지 반복한다.
-
깊이 우선 탐색 알고리즘인 DFS는 스택 자료구조에 기초한다는 점에서 구현이 간단하다. 실제로는 스택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탐색을 수행함에 있어서 데이터의 개수가 N개인 경우 O(N)의 시간이 소요된다는 특징이 있다.
-
또한 DFS는 스택을 이용하는 알고리즘이기 때문에 실제 구현은 재귀 함수를 이용하였을 때 매우 간결하게 구현할 수 있다.
def dfs(graph, v, visited):
# 현재 노드를 방문 처리 한다.
visited[v] = True
print(v, end=' ')
# 현재 노드와 연결된 다른 노드를 재귀적으로 방문한다.
for i in graph[v]:
if not visited[i]:
dfs(graph, i, visited)
# 각 노드가 연결된 정보를 리스트 자료형으로 표현 (2차원 리스트)
graph = [
[],
[2, 3, 8],
[1, 7],
[1, 4, 5],
[3, 5],
[3, 4],
[7],
[2, 6, 8],
[1, 7]
]
visited = [False] * 9
dfs(graph, 1, visited)
- 인접 리스트로 이를 구현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방문하게 된다.
1 2 7 6 8 3 4 5
BFS
-
BFS 알고리즘은 ‘너비 우선 탐색’ 이라는 의미를 가진다. 쉽게 말해서 가까운 노드부터 탐색하는 알고리즘이다.
-
DFS
는 최대한 멀리 있는 노드를 우선으로 탐색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고 했는데, BFS는 그 반대이다. -
BFS 구현에서는 선입 선출 방식인 큐 자료구조를 이용하는 것이 정석이다. 인접한 노드를 반복적으로 큐에 넣도록 알고리즘을 작성하면 자연스럽게 먼저 들어온 것이 먼저 나가게 되어, 가까운 노드부터 탐색을 진행하게 된다.
-
알고리즘의 정확한 동작은 아래와 같다.
- 탐색 시작 노드를 큐에 넣고 방문 처리를 한다.
- 큐에서 노드를 꺼내 해당 노드의 인접 노드 중에서 방문하지 않은 노드를 모두 큐에 삽입하고 방문 처리를 한다.
- 3, 2번의 과정을 더 이상 수행할 수 없을 떄까지 반복한다.
- 너비 우선 탐색 알고리즘은 BFS는 큐 자료구조에 기초한다는 점에서 구현이 간단하다.
- 실제로 구현함에 있어 앞서 언급한 대로
deque
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수행함에 있어 O(N)의 시간이 소요된다.
from collections import deque
from typing import List
def bfs(graph: List[List[int]], start: int, visited: bool) -> None:
# 큐 구현을 위해서 deque 라이브러리를 사용했다.
queue = deque([start])
# 현재 노드를 방문 처리한다.
visited[start] = True
# 큐가 완전히 빌때까지 반복한다.
while queue:
v = queue.popleft()
print(v, end=' ')
# 해당 원소와 연결된, 아직 방문하지 않은 원소들을 큐에 삽입한다.
for i in graph[v]:
if not visited[i]:
queue.append(i)
visited[i] = True
graph = [
[],
[2, 3, 8],
[1, 7],
[1, 4, 5],
[3, 5],
[3, 4],
[7],
[2, 6, 8],
[1, 7]
]
visited = [False] * 9
bfs(graph, 1, visited)
참고 문헌
>> Home